?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갑자기 확장되는 허공. 천정. 다시 저녁이다. 밤이 아니라면 저녁일 터. 불사의 태양이 다시 죽어가고 있다. 한편에는 타다 남은 불. 다른 한편에는 재. 이기고 지는 끝이 없는 승부. 누구도 알 수 없는. -사뮤엘 베케트1)



서문



서문은 대개 최후에 쓰인다. 기묘한 일이다. 결론이 나고서도 또 그 뒤에 오는 것이 가장 처음에 읽힌다니. 지금, 이와 같이 말이다. 그런데 이것은 큰 위험을 무릅쓰는 일은 아닌가? 이것을 읽고 있는 독자에게도, 쓰고 있는 필자에게 있어서도.

책을 쓴다는 것은, 책을 쓰는 그 시간의 정처 없음을 견디는 것이다. 게다가 너절하게 모아놓은 것이 아닌, 일관된 책을 쓰는 것이라면. 그렇다, 알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 방식대로 쓴다면, 그것은 쓰는 것이 아니다. 물론 대강의 계획이 있고, 오랫동안 써 모은 노트도 있으며, 자료도 충분히 모았을 것이다. 하지만 쓴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우연성에 몸을 내던지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것과 알 리 없는 것들을 쓰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여 어리둥절해 하는 것이다. 심히 망연자실 하는 것이다. 잔물결 치듯 나지막하게 고동치는 건망과 편집광적인 기억이 하루하루를 혼탁하게 만들어 시달리는 것. 자신의 몸도 정신도 아닌 그 사이, 구분 가능한 어딘가에, 조금씩 스며드는 잉크로 문신을 새기고, 그 문양을 모르는 스스로에게 경악하는 것이다. 어렴풋한 광기의 소리와 열기를 띤 뺨, 그리고 갈피를 잡지 못해 차가워지고 마비되어가는 손가락 끝, 그 사이에서, 뭔가 뒤엉킨 신음소리를 내는 것이다. 희미한 형광등 불빛 아래에서, 그 신음조차 자신의 것이 아니게 되는 순간을 맞이하면서 말이다. 그러니까 처음부터 책 전체의 구성을, 논지를, 논리를, 명징한 도식으로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다면 책을 쓸 필요는 없다. 전부 알고 있다면, 책을 쓸 필요가 어디 있으랴. 전부 알고 있다는 난잡한 환상에 취해있다면. 그것은 단순한 지식의 복사에 지나지 않는다. 위압적으로, 고자세로 내려다보는 지식의 가르침에 불과하다. 그런데, 도대체 이런 게 쓴다는 것일까.

이 책은 <야전과 영원>이라 이름 지었다. 글자 그대로 "야전과 영원"에 대해서, 혹은 "영원한 야전"에 대해서 말한 것이다. 자크 라캉, 미셸 푸코, 피에르 르장드르, 이 세 명의 텍스트를 부족하게나마 철저하게 읽고, 그것을 신중히 재단하고 날실과 씨실을 풀어 다시 짜는 작업을 묵묵히 이어나간 결과, 거기에 지금 필자가 "야전과 영원"이라 부를 수밖에 없는 시공이 출현했다. 생각지도 못한 등장이었다. 그런데 이 등장이 방금 말한 신음소리, 우연, 알 리 없는 것을 써나가는 소스라칠 만한 시간을 거쳐 왔음을, 이런 서문이 잊게 만들지는 않을까. 그렇게 흔쾌히 망각하면서, '통일적인 관점'이나 '이 세 명을 논하는 필연성'이 마치 처음부터 있었던 것처럼 구는 것은 아닌지. 해후와 우연한 만남, 어려움도 머뭇거림도 잊고. 길을 잃고 헤매면서도 시치미를 떼고, 지금의 나는 그것이 가능하다. 망각을 자아내고 우연한 신음을 눌러 죽이는 그런 날조된 언어를 쓰는 것이. 써 버린 것이니까 말이다. 최후의 문장을 쓰고 있으니까. 돌이켜보면서, 나중에야, 얼마든지, 의기양양하게 <이 책의 의도>라고 말하는 게 가능할 터. 가위 바위 보에서 손을 늦게 내 이긴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야전과 영원>이라고 불리는 본고의 논리는, 이러한 있지도 않은 ‘통일적인 관점’이라든가 ‘필연성’이라든가 ‘전체’를 보증하는 ‘완결’을, 어디까지나 부정하려고 한다. 그것은, “영원”한 “밤”의 “전투”에 바쳐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 전투는 끝이 없다. 시야는 어두워 막막하다. 승부는 미리 정해지지 않는 법. 그렇다. 쓰는 것의 우연성, 즉 쓰는 행위가 본질적으로 도박이라는 점이야말로, <야전과 영원>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이 책의 중심개념이다. <영원한 야전>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통일적인 관점은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그 자체가 <영원한 야전>이다. 바로 그 점을 말한 <야전과 영원>의 서문에서, 필자는 이를 배신할 수는 없었다.

그렇다 해도, 우리가 갈 길은 멀다. 가끔은 자신이 어디를 향해 걷고 있는지 가늠하기 어려울 터. 그 때를 위해, 이 책이 어디에서 매듭지어지고 또 어디로 풀려나가는지 개관해 두기로 한다. 다만 이 개요, 이 계획은 어디까지나 ‘결과’이다. 막막한 가운데 마구잡이로 해나간 작업의 결과인 것이다.

푸코와 라캉. 이 두 사람은 대립관계에 있다. 특히 푸코 자신이 오랜 기간에 걸쳐 정신분석을 비판하는 논지를 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라캉의 제자들 역시, 별반 유효하지는 않으나 심하다 싶은 반론을 지금까지도 하고 있다. 약간 우스꽝스럽지만 세 가지 중 하나를 택하는 문제를 굳이 말해보자. “푸코의 편에 설까, 라캉의 편에 설까, 아니면 대립관계를 제쳐두고 애매하게 양측의 논지를 절충하여 적당히 키워드를 자신의 언어 안에 조금씩 숨겨 놓을까” 라고. 그렇다. 라캉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것을 넘어선 누군가를 칭찬하는 현대사상 연구서는, 지금도 서점에 넘쳐나니까. 푸코나 라캉에서 유래한, 구미에 당기는 몇몇의 어휘를 다룬 책이라면 그보다 더 불어나고 있으니. 하지만, 어떨까. 그들은 정말 대립적일까. 그들의 대립은 사실 그들 스스로가 대립한다고 여기는 지점이 아니지 않을까. 그들은, 자신이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스스로 오랫동안 이끌어왔던 논리를 깨뜨리는, 한걸음이면 비약하거나 실추되는 그 순간에, 자기 원래의 모습을 잃고 바로 판단하기 어려운 창화唱和2)를 시작하는 때를 맞지 않을까. 라캉의 제자들이 라캉의 말에서 눈을 돌렸을 때, 푸코주의자들이 푸코의 텍스트에서 후퇴하는 지점에서 두 사람은 기묘한 제창을 시작하지 않을까. 그렇다. 그 공명의 때, 불가사의한 화음이 울려 퍼지는 장소에는 또 한사람의 수수께끼 같은 모습이 남는다. 그가 없다면 이 공명의 시공 자체가 없었을지도 모르는, 제3의 모습이. 라캉의 애제자이자, 라캉학파의 자폐적 경향을 라캉의 면전에서 격렬하게 비판하고, 라캉의 후원으로 출판한 책의 서두에서 라캉을 향한 개인숭배를 지탄하고, 가타리를 따라 재빨리 라캉학파를 이탈한 그는, 견실하고도 실증적으로, 법·제도·권력을 말하는 역사가로서, 또 색다른 문체를 구사하는 특이한 사상가로서, 푸코와 수차례 비판적인 서신교환을 하면서도 끝끝내 서로의 논지를 비껴 둔 채로 오랫동안 엇갈려왔다. 그는 시대의 최전선에 부상하기보다 주교좌성당의 지하도서관에서 라틴어 사본을 상대하기를 즐겼는데, 어느새 프랑스에서도 무시하기 어려운 존재로서 조금씩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의 이름은 피에르 르장드르라고 한다. 정신분석가면서, 로마법을 중심으로 하는 법제사가. 그를 통해서, 그렇다, 르장드르를 통해서만이, 푸코와 라캉은 격렬한 대립 그대로, 서로를 결코 수용하지 않는 긴장관계 그대로, 깊고도 깊게 불온한 공명을 시작하게 된다. 푸코, 라캉, 르장드르. 이 세 명이 사이가 좋다든가, 공통점이 있다든가, "서로 영향을 받았다"든가 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필자는 이 이상한 공명의 시간을 <야전과 영원>의 시공이라고 부른다. 이 시공이야말로, 라캉과 푸코를 새롭게 독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로 그들의 논리가 일거에 되살아나는 시공인 것이다. 그렇다. 반복하겠다. 이것은 야전과 영원의 이야기이다.

라캉에게는 정치하면서도 난해한 자신의 논리를 파탄 내는 지점이 세 가지 있다. 상징적인 한편 상상적인 ‘거울’과, 상징적인 한편 상상적인 “팔루스”, 그리고 “대타자의 향락=여성의 향락”이라고 불리는 것이 그것이다.

‘거울’은 언뜻 그 평범함과는 달리, 라캉 자신이 만든 중대한 개념 구분을 크게 흔든다. 상징적이지만은 않은 “팔루스”는 라캉이 굳이 피해온 권력의 표상에 대한 질문을 시작한다. 그리고 “대타자의 향락”, “여성의 향락”이야말로 정신분석 자체의 역사적 한계를 한계인 채로 두고, 라캉이 자신의 이력을 모두 걸고 나선 마지막 전투 기록이다.

이 세 가지 질문을 재발견하고, 법, 종교, 제도의 물음으로 받아들인 것이 피에르 르장드르다. 그는 자신의 기발한 개념장치에 취한 정신분석의 자폐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거울’을 정신분석의 밀실에서 해방하고, 상징적인 동시에 상상적인 “팔루스”를 역사적으로 상대화하면서 “계보학적 질문”으로 다시 파악하고, 또 중세 이후의 ‘법’이라는 규범적 지식이 방대하게 형성되어 온 과정을 “여성의 향락이라 불리는 것”에 열광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그 사고의 사정거리는 장대하며, 또한 우리 사유의 한계를 시험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몇 가지 거대한 전제를 크게 뒤엎지 않으면 안 되리라.

그리고 라캉 및 라캉학파의 관점, 나아가 정신분석 ‧ 사회학 ‧ 인류학의 주요한 관점을 근본개념에서부터 비판하는 후기의 미셸 푸코를 논하고자 한다. 그의 비판은 대부분 정당하지만, 역설적이게도 푸코 자신의 맹점마저 명백해진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푸코 말년의 이론이 스스로 동요하며 모순을 초래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규율권력과 주권권력의 차이가 흔들리고, 그 결과 “돌연히” 통치성이라는 개념이 제기될 것이다. 신자유주의가 제기하는 질문은 푸코주의자들을 좌절케 하리라. 환경이나 보안장치는 일시적인 개념에 지나지 않음이 분명해질 것이다. 또 이슬람으로 인해 혼란스러워하는 푸코를 마주하게 되리라. 그리고 자기에의 배려, 생존의 미학에 쏟아지는 칭찬이 그의 뜻에 의도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푸코의 텍스트를 직접 독해함으로써 이를 논증하겠다.

그리고, 푸코 말년의 논리에서 도출되는 최후의 결론이, 실은 라캉과 르장드르의 이론과 깊은 곳에서 공명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불온한 공명의 장소와 시간을, <야전과 영원>의 시공이라고 부르겠다. 라캉이 “과도한 형상”이라고 표현한“여성의 향락”과, 르장드르가 반복해서 “텍스트” “몽타주”라는 용어로 나타낸 것을, 그리고 푸코가 “다이어그램”과 “장치裝置”라는 어휘로 제기한 것을, 혹은 블랑쇼가 “밤”과 “바깥”과 “열광적인 춤”이라는 말로 표현했던 것을, 그리고 들뢰즈 가타리가 “배치”라고 부른 것을, 게다가 들뢰즈가 “개념=잉태”의 문제계열로 제시한 것을, 이 시공은 일거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야전과 영원>은, 개인으로써의 주체와 법인으로서의 주체를“결과로써”출현시킨다. 끝없는 역사의 창조성과 우연성의 층위다.

그러나 이렇게 말해보는 것은 역시 가위 바위 보에서 손을 늦게 내는, 어쩌면 빗나간 판단에 불과할 지도 모른다. 이제 시작해보자. 우리는 먼저, 자크 라캉에 대해서 이야기 할 것이다. 그의 노정을 하나부터 열까지 새롭게 더듬어 보면서, 아직 출간되지 않은 <세미나>에 한발 한발 들어가 보자. 그의 용기 있는 파탄의 장소에서, 그가 뜻밖에 “다른”모습을 드러내 버릴 때 까지.









1) 사뮤엘 베케트, <ILL SEEN ILL SAID> " ... Incontinent the void. The zeith. Evening again. When not night it will be evening. Death again of deathless day. On the one hand embers. On the other ashes. Day without end won and lost. Unseen. ..."


2) 창화唱和:: 한 사람이 선창하고 여러 사람이 그에 따름; 한 쪽에서 부르고 딴 쪽에서 화답함. ‘돌림노래’와 메기고 받는 형식, 코러스의 형태를 아우르는 단어. 즉 여러 사람이 같은 노래를 부르더라도 동시에 같은 소절을 부르지 않는 양식을 통칭하는 단어로 보이며, 모두 함께 일제히 같은 노래를 부르는 ‘제창’과 비교되는 단어로 쓰였다.

  • ?
    추극 2013.08.25 10:58

    오~~~ 멋져^^

    우리 꼬망싸바도 분발해야징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8월 27일 개강] 일어 번역 세미나 [다이죠부] 시작합니다:) 3 혜원 2013.07.16 2780
23 향연 다이조부 ppt file jerry 2013.12.15 3189
22 131119 <야전과 영원> 하 31~40 file 혜원 2013.12.03 11228
21 [정리] 131111 야전과 영원 31~38p file 혜원 2013.11.19 2799
20 [정리] 131105 야전과 영원 하 p.31~p.37 file 혜원 2013.11.06 3185
19 [정리] 131022 야전과 영원 하 p.31~p.33 file 혜원 2013.10.29 11513
18 절차탁마 2학기. <야전과 영원> 푸코 부분 계속 읽습니다:) 혜원 2013.10.25 3066
17 [정리] 131015 야전과 영원 하 ~p.31 file 혜원 2013.10.15 3120
16 [정리] 131002 야전과 영원 하 ~p.31 file 혜원 2013.10.15 11266
15 [정리] 130924 야전과 영원 하 ~p. 29 file 혜원 2013.10.01 2838
14 [정리] 130917 야전과 영원 下 ~p.27 file 혜원 2013.09.23 2979
13 [정리] 130910 야전과 영원 下 ~p.24 file 혜원 2013.09.16 1333
12 [정리] 130903 야전과 영원 하 p.21 file 혜원 2013.09.06 1272
11 [정리] 130903 야전과 영원 목차 정리 file 혜원 2013.09.02 1429
10 [정리] 130827 야전과 영원 서문 file 혜원 2013.08.29 1375
» [정리] 130822 야전과 영원 ~p.25 1 file 혜원 2013.08.23 1176
8 [정리] 130815 야전과 영원 ~p.23 file 혜원 2013.08.18 1191
7 서문 베케트 원문을 찾았어요~ 2013.08.17 1364
6 [정리]130808 야전과 영원 ~22p file 혜원 2013.08.12 1455
5 [정리]130730 야전과 영원 p.~21 file 혜원 2013.08.06 1965
4 야전과 영원 서문 p.19 효정 2013.07.29 16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