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번의 일기는 그렇게 “커다란 기대가 있는” 것도 아니고 원래처럼 아주 간단한 것도 아니며, 지금은 아직 없고 써가려고 하는 것이다. 4, 5일 전에 반농(장사조)을 만났을 때, 그는 ‘『세계일보』부간(副刊)을 편집하려고 하는데, 원고를 좀 보내주셔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야 물론 가능한 일이다. 그렇지만 원고는? 이는 참으로 곤란한 일이다. 부간을 보는 사람은 대체로 학생들이고 모두 경험자로서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라는 논” 또는 “인심이 예전보다 못하다는 의(議)” 따위를 해본 사람들이라 글을 쓰는 것이 어떤 맛인지 틀림없이 알고 있을 것이다. 어떤 이는 나를 “문학가”라고 말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나는 그들의 말을 믿지 않으려 하며, 그 증거가 바로 내가 글쓰기를 가장 두려워한다는 점이다. (<즉흥일기> 중)

 

 : 여기서 가장 인상적인 건 마지막 문장이다. 특히 “내가 글쓰기를 가장 두려워한다는 점”이라는 구절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위대한 작가들 중 일필휘지하는 사람이 있을까. 쓰고, 고치고, 엎어 버리고, 다시 쓰고…. 이 과정을 잘 견뎌내는 사람들이야말로 훌륭한 작가가 아닐까. 한 페이지짜리 글을 완성할 때에도 우리는 한 문장에서 그 다음문장을 잇는 것이 정말 어려다는 걸 잘 알고 있다. 머릿속으로는 왠지 이어질 것 같던 말들도, 써놓고 보면 말도 안 되는 것일 때가 많다. 마치 분열증에 걸린 사람처럼 우린 종이 위에서 횡설수설하기 일쑤다.

 글을 쓰고 싶다, 잘 쓰고 싶다, 글로 인정받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만 갖고 있는 사람은 어쩌다 쓴 자신의 문장들에 쉽게 도취되고, 허세부리는 글들에 쉽게 현혹되는 것 같다. 꾸준하게 열심히 쓰고 있는 사람은 막연한 감상에 쉽게 젖어 들지도, 다른 사람의 번지르르한 글에 잘 속지도 않는다. 무엇보다 그들은 자기 자신의 말과 글에 속지 않는다. 루쉰이 그런 사람이었던 것 같다. 그는 자신을 소위 “문학가”라고 부르는 사람들의 말을 믿지 않는다. 글쓰기가 그에게는 가장 두려운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는 글을 씀으로써 가장 용감해질 수 있었다. 자기 한계를 보는 것이자 그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글쓰기. 그것이 바로 루쉰의 글쓰기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3.6] 루쉰 전작읽기! 8 file 혜원 2014.02.03 16821
56 삼한집 혜원 2014.08.27 185
55 삼한집 태람 2014.08.23 238
54 이이집-2 태람 2014.08.08 260
53 이이집 1 혜원 2014.08.03 173
52 화개집속편의 속편 태람 2014.07.24 734
» 화개집 속편-2 태람 2014.07.14 152
50 화개집 속편 혜원 2014.07.07 180
49 화개집 속편-1 태람 2014.07.03 163
48 화개집-4 태람 2014.06.28 134
47 6월 셋째주 오나루 지수 2014.06.24 1509
46 화개집 1,2,3 혜원 2014.06.22 171
45 화개집-3 태람 2014.06.19 124
44 6월 첫째 주, 둘째 주 오나루 지수 2014.06.18 114
43 화개집-2 태람 2014.06.15 1457
42 화개집-1 태람 2014.06.08 144
41 5월 다섯번째 태람 2014.06.05 139
40 5월 5번째주 오나루 지수 2014.06.02 148
39 5월 다섯번째 오나루 혜원 2014.06.02 162
38 5월 넷째주 오나루 지수 2014.05.26 348
37 5월 네번째 오나루 혜원 2014.05.26 33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