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나의 글이 나의 저항이다!『글쓰기와 반시대성, 이옥을 읽는다』(북드라망)를 소개합니다!


DSC08340보정.jpg


연암과 다산이라는 큰 별에 비하면 이옥은 작고 초라한 별이다. 연암-정조-다산을 중심으로 한 18세기의 찬란한 성좌 언저리 어딘가에서 겨우 희미한 빛을 낼 뿐, 이 작은 별이 18세기의 시공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다. 하지만 이 미미한 별을 빼놓고 문체반정이라는 사건에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옥이야말로 전통적 글쓰기 담론에 심각한 균열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리는 하나의 징후요, 낡은 글쓰기의 영토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도주선이기 때문이다. 도주선, 극미하지만 빠르게 영토를 횡단하는 그 사건이야말로 지층의 평형상태를 교란시키는 힘이다.

…  나는 이옥의 미미한 존재감을 커다랗게 과장함으로써 그를 '위대한 문인 리스트'에 기입하려는 게 아니다. 이 글은 18세기 시공간에서 그의 글쓰기가 어떤 식으로 시공간의 굴곡을 형성했는지를 기술함으로써 '글쓰기와 저항'의 문제를 지금 이 자리에서 재고하려는 시도다.


─채운, 『글쓰기와 반시대성, 이옥을 읽는다』, 「프롤로그_이옥과 우리」중



DSC08342보정.jpg


전근대의 독서와 글쓰기가 근대와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이 인간의 신체를 소외시킨 '정신적 활동'만으로 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어떤 글을 암송하고 쓰는 행위는 머리가 아니라 전신에 그 글을 새기는 일이다. 앎이 신체에 각인되어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 그게 배움의 최종목표다. 그런데 이옥은 여기서 더 나아간다. 그에게 읽고 쓰는 것은 일종의 불가항력이다. 글을 몸에 배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글이 나를 지배하는 상태까지 가는 것이 독서요, 그 상태에서 어쩔 수 없이 나를 뚫고 터져 나오는 것이 글쓰기다. 이옥에게서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어쩔 수 없음'이다. 가히 디오니소스적이라 할 만한 망아(忘我)의 상태! '나'라고 할 만한 것을 완전하게 망각한 후에야 거기서 비로소 시작되는 무엇, 그것이 글쓰기다.


─채운, 『글쓰기와 반시대성, 이옥을 읽는다』, 158쪽


DSC08345보정.jpg


북드라망 http://bookdramang.com/539


  1. [낭송 이옥] 채운 신간 0 file

  2. [사람은 왜 알고 싶어 할까] 채운 신간 2 file

  3. [철학을 담은 그림]_채운 신간 2 file

  4. [낭송Q시리즈] 낭송 홍루몽 0 file

  5.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한 작가의 배움과 수련 0 file

  6. [낭송Q시리즈] 아함경, 열자 출간 0 file

  7. 신간_예술의 달인, 호모 아르텍스 (개정 증보판) 0 file

  8. 신간 _『글쓰기와 반시대성, 이옥을 읽는다』 0 file

  9. 신간_ <청소년 고전 독서클럽> 0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