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과제

by 최정옥 posted Mar 24, 2012 Views 226 Replies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체적인 부분들에서는 여전히 많은 의문사항, 이라기보다는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지만.

이번에 동아시아에서의 불교를 읽으면서 인상적이었던 것은, 새로운 종파의 출현이

시대상황이, 현실상황이 엄혹할 때, 즉 인생이 고통임을 절절히 느낄 때, 등장한다는 점이다.

대승불교도 이란쪽의 영향(조로아스터교)으로 인해 중앙아시아에서 생겼을 것이라는 고찰은 놀라웠다.

그리고 저자는 조심스레 말했지만, 정말 그럴 것 같다.

중국으로 들어온 대승도,

중국적 불교로 다양하게 퍼져나가는 것을 보고, 종교의 교리 혹은 그 해석도 현실에 부딪히면서

가져왔던 의문을 푸는 과정에서 갈래가 나뉘어졌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해탈이고 뭐고 다 좋지만 지금 눈앞의 차별의 세계, 고통으로 가득찬 지옥같은 현실을

어떻게 이해하면, 어떻게 바라보면 마음이 편안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종교적인 고민들에 대한

절절한 해답의 과정으로 중국불교사를 볼 수 있다.

교리만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질문을 통해서 어떻게 교리해석이 그런 방식으로

되었는가를 바라볼 수 있게 되어서 재밋는 시간이었다.

-나의 질문은, 천태종, 화엄종, 선종, 정토종 등의 교리!! 여전히 이해 안되는ㅠㅠ

많지만 구체적으로 집으라면, 천태종의 화엄종의 성구 대 성기설의 차이, 그리고 여래장 사상의 개입 등등.